laura_99's review against another edition

Go to review page

reflective medium-paced

3.75

hizerain's review against another edition

Go to review page

challenging emotional funny reflective medium-paced
  • Plot- or character-driven? Character
  • Strong character development? Yes
  • Loveable characters? No
  • Diverse cast of characters? Yes
  • Flaws of characters a main focus? Yes

4.25

kord's review against another edition

Go to review page

challenging dark inspiring reflective slow-paced
  • Plot- or character-driven? Character
  • Strong character development? It's complicated

3.5

blulady's review against another edition

Go to review page

challenging dark reflective slow-paced
  • Plot- or character-driven? A mix
  • Strong character development? Yes
  • Loveable characters? It's complicated
  • Diverse cast of characters? Yes
  • Flaws of characters a main focus? Yes

3.75

borumi's review against another edition

Go to review page

4.0

어렸을 때 나는 기독교든 불교든 지옥을 묘사한 작품들에 이끌렸던 기억이 난다.
특히 Hieronymous Bosch의 Garden of Earthly Delights는 그 기괴한 상상력의 나래에서 눈을 뗄 수가 없게 만들었다.
그래서 그런 걸까 단테의 신곡 중 인페르노는 댄 브라운 소설과 영화로도 다루어질 정도로 많이들 읽지만 신곡의 연옥과 천국은 그만큼 유명하지 않은 듯하다.
하지만 이번에 지옥, 연옥, 천국을 다 포함한 John Ciardi 번역의 Divine Comedy를 읽고서 왜 그런지 이해가 갔다. 그리고 드디어 왜 이 작품의 제목이 Divine Comedy인 줄도 배웠다.

일단 지옥은 그 섬뜩한 묘사와 괴기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우스꽝스러운 상상력이 빠른 페이스로 이어지며 먼저 하늘나라로 간 첫사랑 Beatrice의 부탁에 응해 무슨 소림사의 사부님이나 빌보 배긴스를 이끄는 간달프처럼 고대로마시대의 대표시인 선배 Virgil이 때로는 다독이고 때로는 꾸짖으며 앞장서 간다.
마지막 사탄의 모습은 뭐랄까 게임 레벨이 너무 빨리 올라가서 어느새 최강보스를 만났는데 시시하다는 느낌이 들 정도였지만 이건 그저 시작일 뿐이라는...

연옥에서는 영화 '세븐'에서 나온 seven deadly sins에 각각 어울리는 본받아야 할 일화들 (카톨릭답게 꼭 성모마리아가 여기 한번은 들어간다)과 그 미덕에 반하는 타락의 일화들을 보여주고 이에 상응하는 벌을 충분히 받으면 다음 레벨로 올라가는 영혼들을 보여주는데 지옥에서는 영원히 그 죄에 대한 벌을 받으며 희망이 없는 대신 여기서는 형기를 마치면 풀어나는 희망이 있다는 게 지옥과의 차이점이고 낮에만 이동할 수 있는 (왜냐하면 태양이 신을 상징하니) 점이 다르다.
그리고 결국 연옥의 마지막 층을 통과하며 Virgil은 졸업장(?)을 단테에게 수여하고 고대로마의 4가지 덕성을 상징한 여인들과 기독교의 3가지 덕성을 상징한 여인들을 만나고 결국 Beatrice를 레테강 저편에서 만나게 되고 Virgil은 임무를 마치고 다시 원래 있던 지옥의 limbo로 돌아간다.

그러고나서 Beatrice가 가이드가 되어 천국을 보여주며 여기서도 신에게 다가가며 업그레이드를 거듭한다. 이런 단테의 여정이 카오스의 지옥에서부터 점점더 신의 질서를 따르게 되는 천국의 코스모스로 나아가는 길이라고 한다. 그래서 commedia라고.. (divine이란 건 나중에 단테 친구 보카치오가 붙여준 거라고 한다. 신곡은 일본식 제목)
그런데 솔직히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은 커녕 아직도 scholastic philosophy의 난제에 대해 작품 속 단테보다도 더 의문을 품고 있는 나로서는 여기에 Ptolemaic 우주관과 Plato와 Aristotle의 형이상학 뿐 아니라 플로렌스와 유럽 및 카톨릭교회의 역사까지 더해져서 갑자기 내 머리속은 '여기는 어디인가 나는 누구인가'하는 카오스에 빠졌다. 각 장의 각 구절마다 본 작품보다 더 장황한 footnote와 reference를 찾아보며 겨우 한줄 한줄 나아가는 게 고작이어서 빛이나 코스모스는 커녕 안개 속에서 미로를 탈출하기 위해 아리아드네의 실을 짚고 가는 심정이었다.
그리고 단테가 가졌던 의문들과 마찬가지로 나도 이전부터 '왜 하나님은 애초에 이런 hierarchy를 만들어서 어떤 사람은 지옥에 가고 어떤 사람은 천국에 가게 했나 하나님은 전지전능하니까 그냥 애초에 원죄도 못 저지르게 막아버리고 모두 좋은 사람으로 만들면 안되나'하는 등의 질문들을 갖고 있어서 최종레벨에 도착하면 답을 찾겠지..하고 꿋꿋이 버텼다.
그런데 결국 이런 질문들은 뭔가 궤변같은 설명 (Let's deal with theodicy by the free will argument! Duh!)으로 맞받아치거나 아니면 최종적으로는 우리는 너무 불완전한 인간이어서 신의 깊은 뜻을 다 헤아리기엔 역부족이라는 최종결론으로 마무리되니 좀 허무했다. 실제로도 신을 만나는 마지막 장에서도 단테는 그의 능력 부족으로 설명 못하겠다는 결말이라니..;;; 뭔가 마지막에는 여기까지 오느라 정말 수고했어하고 나를 위로하기 위해 책거리를 하고 싶으면서도 뭔가 '나 여기까지 계속 질문들에 대한 마지막 답을 알고 싶어 끌려왔는데 낚인거야?'한 느낌..

이 방대한 신학, 철학, 천문학, 역사와 정치적 박식함 뿐만 아니라 지옥, 연옥, 천국 간의 확연한 스타일의 차이 속에서도 무슨 기호학자처럼 특정한 숫자와 운율 그리고 구조를 유지하고 이용하는 학자 겸 시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단테의 천재성에 감탄하기도 했지만 반면 그가 가장 우려하는 죄가 pride이듯이 꼭 이렇게까지 '나 이 정도로 잘난 거야'를 뽐내야했나 싶기도 했다.
그리고 그 당시의 위계질서가 철저하고 배신과 타락이 극심하던 정치적 상황을 고려하면 당연하겠지만 그래도 이교도와 유대인 등에 대한 배척과 죄인에 대한 용서와 자비보다는 철저한 혐오와 보복 등 다소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부분들이 있었다.

지옥의 끔찍한 장면들을 계속 마주하면서 갈수록 그런 것에 냉담해지다 못해 나중에는 경멸하기까지 하는 단테를 보며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이 생각났다. 우리는 미디어의 폭력과 처참한 타인의 고통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며 이에 무감각 또는 관음적인 쾌락에마저 빠지는 것이 아닌가? (그래서 내가 Bosch의 그림에서 눈을 뗄 수 없었나) 이런 것이 과연 Virgil의 계몽적인 교육적 지옥여행의 의도인가?

"..put back all sorrow from your mind;
and never forget that I am always by you should it occur again,
as we walk on,
that we find ourselves where
others of this crew fall to such petty wrangling and upbraiding.
The wish to hear such baseness is degrading.”

Personal Memo: Are the readers (and Dante) supposed to learn from this 'enlightening experience' or are we more likely to fall into the dangers of
'interested voyeuristic sadism' or 'desenstized and dehumanized apathy'?
This reminds me of Susan Sontag's essays 'Regarding the Pain of Others' and 'On Photography'.

"...Death has not come for him, guilt does not drive his soul to torment,” my sweet Guide replied.
“That he may experience all while yet alive I, who am dead,
must lead him through the drear
and darkened halls of Hell, from round to round: and this is true as my own standing here.

Personal Memo: I'm beginning to understand that the purpose of Virgil
(or the mastermind behind all this)
on this trip through hell was for Dante's experience (or on-field education?) to let the wretchedness of sin really sink in.
"Man's greatness comes from knowing he is wretched:
a tree doe not know it is wretched.
Thus it is wretched to know that one is wretched,
but there is greatness in knowing one is wretched."
- Pensees by Blaise Pascal

이에 대해 고민하다가 결국 책에 끄적인 메모가 다음과 같았다: '파스칼의 팡세에서 인간의 위대함은 그의 비참함을 아는 것으로부터 비롯된다고 하였는데 Virgil의 지옥여행의 의도는 Dante가 인간이 얼마나 비참하고 불완전한 존재인지 뼈저리게 깨닫게 해주기 위한 현장학습체험같다.'
So no pain no gain? No heaven without hell and no salvation without sin? No good without evil? Does good (God) shine more with the evil (Satan) besides it?


인간의 자유의지 등에 대한 문제 등 그저 우리의 지식의 부족을 인정하는 것으로 무마하기에는 뭔가 찝찝한 점도 없지 않았다.
하지만 바로 그런 지옥만큼 난잡하고 참혹한 불평등과 타락 부정부패와 중상모략이 가득한 위험한 난세 속에서 그런 점을 믿음과 희망 그리고 사랑으로 승화시키려고 했던 단테의 작품은 분명 매번 볼 때마다 새로운 divine revelation을 낳게 될 것 같다. 마치 죄를 지어도 참회와 사랑하는 이들의 기도로 지옥에서 벗어날 수 있던 purgatory의 영혼들처럼 (영화 Coco가 생각나는군...) 지옥 속에서도 천국을, 죽음 속에서도 부활을 꿈꾸며 신의 천년왕국을 기다리던 단테는 훗날 디스토피안 소설과 유토피안 소설 모두에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this man can give you what is longed for here:
therefore do not refuse him, but bend down.
For he can still make new your memory:
he lives, and awaits long life,
unless Grace call him before his time to his felicity.”

Prayer could help me,
if a heart God’s love has filled with Grace should offer it.
All other is worthless, for it is not heard above

Personal Memo: Men live beyond their transient lifespan and
are perhaps reborn through the memory of others

지옥 연옥 천국이 모두 포함된 버젼을 구하려고 Ciardi의 번역을 택했는데 초짜로서 아주 탁월한 선택이었다. 일단 Ciardi는 terza rima를 영어로 구현하기 위해 다소 poetic license를 이용했지만 그런 점을 확실히 밝히고 탁월한 언어감각으로 단테의 시를 rhyme의 패턴과 anagram의 디테일까지 잘 살렸다.
그리고 footnote는 풍부한 정보가 담겨있을 뿐 아니라 Ciardi의 솔직하고 유머러스한 코멘트가 담겨져서 현대의 감각으로서도 중세의 뉘앙스를 잘 포착했다.
다음에는 Musa나 Hollander의 번역도 보고 싶고 다음번에는 footnote에 좀 덜 의존하면서 덜 헤매면 좋겠다. 심연의 숲에서 정처없이 헤매지 않고 단테처럼 한걸음 더 빛나는 별들을 향해 나아갈 수 있으려나.

Midway upon the journey of our life,
I found myself within a forest dark,
for the straightforward pathway had been lost

O you who in your wish to hear these things
have followed thus far in your little skiffs
the wake of my great ship that sails and sings,
turn back and make your way to your own coast.
Do not commit yourself to the main deep,
for, losing me, all may perhaps be lost.
My course is set for an uncharted sea

Here my powers rest from their high fantasy,
but already I could feel my being turned—
instinct and intellect balanced equally
as in a wheel whose motion nothing jars—
by the Love that moves the Sun and the other stars.

jenmcreads's review against another edition

Go to review page

adventurous dark fast-paced
  • Plot- or character-driven? Plot
  • Strong character development? It's complicated
  • Loveable characters? No
  • Diverse cast of characters? N/A

4.0

annamikulec's review against another edition

Go to review page

challenging dark reflective slow-paced

4.0

revennaras's review against another edition

Go to review page

2.0

In order to fully enjoy this book, you will need to study a large amount of history, study the wording he uses, and immerse yourself into Dante's personal life. As a pure enjoyment factor, it is a 2-star rating for me. However, it's clear to see why this is lauded as a work of genius. It certainly is impressive in many regards. Also, this edition I read was wonderful, as it provides wonderful visuals to help grasp Dante's experience.

tschahnie's review against another edition

Go to review page

4.0

love the glorification of fanfiction writers back in the day, dante a real one fr wasn't very comedic imo tho

th3__'s review against another edition

Go to review page

dark slow-paced
  • Plot- or character-driven? Plot
  • Strong character development? No
  • Loveable characters? No
  • Diverse cast of characters? Yes
  • Flaws of characters a main focus? No

4.0